맨위로가기

개의 심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의 심장은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10월 혁명 직후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외과 의사인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가 떠돌이 개 샤릭에게 인간의 뇌하수체와 고환을 이식하는 실험을 한다. 수술 후 샤릭은 인간의 모습을 갖추고 샤리코프라는 이름을 얻지만, 기증자의 부정적인 특성을 물려받아 문제를 일으킨다. 결국 교수는 샤리코프에게 다시 개의 뇌하수체를 이식하여 샤릭을 원래의 개 모습으로 되돌린다. 이 영화는 원작 소설에 충실하게 각색되었으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라디미르 보릇코 감독 영화 - 대장 부리바 (2009년 영화)
    2009년 개봉한 영화 대장 부리바는 러시아 문화부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으나, 정치적 선전 비판과 역사적 갈등 악화 우려, 그리고 반폴란드적 성격 논란이 있었다.
  • 소련의 SF 영화 - 아엘리타 (영화)
    1924년 소련에서 제작된 SF 영화 아엘리타는 혁명 후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화성에 대한 환상에 빠진 공학자의 이야기를 다루며, 행성 간 비행을 다룬 최초의 장편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고 구성주의 양식의 디자인으로 이후 영화에 영향을 주었고 2005년 대한민국에서 처음 상영되었다.
  • 소련의 SF 영화 - 솔라리스 (1972년 영화)
    솔라리스 (1972년 영화)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가 연출한 SF 영화로, 외계 행성 솔라리스를 탐사하는 심리학자가 죽은 아내의 환영을 만나면서 인간의 기억과 소통의 문제를 탐구하며, 1972년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촬영한 영화 - 레토 (영화)
    1981년 레닌그라드를 배경으로 19세의 빅토르 최, 26세의 마이크 나우멘코, 그리고 마이크의 여자친구 나타샤 나우멘코의 관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린 키릴 세레브렌니코프 감독의 2018년 러시아 영화 레토는, 레닌그라드 록 클럽을 중심으로 빅토르 최의 성장과 키노의 첫 앨범 녹음 과정을 보여주며 칸 영화제 사운드트랙 상을 수상했으나 역사적 사실 왜곡 논란을 겪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촬영한 영화 - 6번 칸
    6번 칸은 핀란드 여성 라우라와 러시아 광부 료하가 기차를 타고 이동하며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개의 심장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러시아 블루레이 디스크 커버
러시아 블루레이 디스크 커버
원제Собачье сердце (소바치예 세르드체)
영어 제목Heart Of A Dog
장르코미디
드라마
SF
감독블라디미르 보릇코
각본나탈리아 보릇코
원작미하일 불가코프개의 심장
출연예브게니 예브스티니프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블라디미르 톨로코니코브
니나 루슬라노바
음악블라디미르 다쉬케비치
촬영유리 샤가르다노브
편집레다 셈요노바
제작사렌필름
텔레비전 영화 배우 협회
20세기 폭스 텔레비전
개봉일1988년 11월 19일
상영 시간130분
국가소비에트 연방
언어러시아어
제작비$5백만

2. 줄거리

영화는 10월 혁명 직후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한다. 떠돌이 개 샤릭은 먹이와 쉼터를 찾던 중, 부유하고 유명한 외과 의사이자 교수인 필리프 필리포비치 프레오브라젠스키에게 발견된다.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는 샤릭을 자신의 넓은 아파트로 유인하여 보살피지만, 샤릭은 자신이 동물 실험 대상이라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된다. 교수는 최근 사망한 알코올 중독자이자 범죄자인 클림 추군킨의 뇌하수체고환을 샤릭에게 이식한다.

수술 후 샤릭은 점차 인간의 모습으로 변해가고, 폴리그라프 폴리그라포비치 샤리코프라는 이름을 스스로 짓는다. 그러나 샤리코프는 기증자의 부정적인 특성(나쁜 매너, 공격성, 욕설, 과음)을 물려받았지만, 고양이를 싫어하는 것은 여전하다. 그는 모스크바의 떠돌이 동물 박멸 부서에서 일하며, 볼셰비키 건물 관리와 결탁하여 교수의 아파트를 빼앗으려 한다. 샤리코프는 돈을 훔치고 가구를 부수는 등 행패를 부려 아파트를 엉망으로 만든다.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와 그의 조수 보르멘탈 박사는 샤리코프를 교화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샤리코프가 소련 비밀경찰에 교수를 고발하려 하자, 교수는 샤리코프에게 아파트를 떠날 것을 요구한다. 샤리코프는 이에 반발하며 권총을 꺼내 들지만, 보르멘탈 박사와의 격투 끝에 제압당한다. 결국 교수는 샤리코프에게 다시 개의 뇌하수체를 이식하는 수술을 감행한다.

샤리코프는 다시 개(샤릭)로 돌아가고, 이전의 일들을 거의 기억하지 못한 채 교수의 아파트에서 만족하며 살아간다.

3. 등장인물


  • 예브게니 예브스티그네예프 - ''필리프 필리포비치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 역
  •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 ''이반 아르놀도비치 보르멘탈 박사, 교수의 조수'' 역
  • 블라디미르 톨로콘니코프 - ''폴리그래프 폴리그래포비치 샤리코프'' 역
  • 니나 루슬라노바 - ''다리야 페트로브나 이바노바, 교수의 아파트 요리사'' 역
  • 로만 카르체프 - ''슈본데르, 건물 위원회 의장'' 역
  • 올가 멜리호바 - ''지나이다 프로코피예브나 부니나, 하녀이자 간호사'' 역 (멜리호바의 더빙은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가 맡음)
  • 카라이(개) - ''샤릭, 떠돌이 개'' 역
  • 안젤리카 네볼리나 - ''바스네초바, 사무실 타이피스트'' 역
  • 블라디미르 표도로프 - ''존재 (변환 단계의 샤릭)'' 역


'''주요 등장인물'''ru 이라는 표현은 제거함.

3. 1. 주연


  • 예브게니 예브스티그네예프 - ''필리프 필리포비치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 역
  •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 ''이반 아르놀도비치 보르멘탈 박사, 교수의 조수'' 역
  • 블라디미르 톨로콘니코프 - ''폴리그래프 폴리그래포비치 샤리코프'' 역
  • 니나 루슬라노바 - ''다리야 페트로브나 이바노바, 교수의 아파트 요리사'' 역
  • 로만 카르체프 - ''슈본데르, 건물 위원회 의장'' 역
  • 올가 멜리호바 - ''지나이다 프로코피예브나 부니나, 하녀이자 간호사'' 역 (멜리호바의 더빙은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가 맡음)
  • 카라이(개) - ''샤릭, 떠돌이 개'' 역
  • 안젤리카 네볼리나 - ''바스네초바, 사무실 타이피스트'' 역
  • 블라디미르 표도로프 - ''존재 (변환 단계의 샤릭)'' 역

3. 2. 조연


  •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 로먼 카체브
  • 니나 루슬라노바
  • 예브게니 쿠즈네츠브
  • 안젤리카 네볼리나
  • 발렌티나 코벨
  • 나탈리아 라피나
  • 올가 멜리호바 - ''지나이다 프로코피예브나 부니나, 하녀이자 간호사'' 역 (멜리호바의 더빙은 스베틀라나 스미르노바가 맡음)
  • 블라디미르 표도로프 - ''존재 (변환 단계의 샤릭)'' 역

4. 제작진

블라디미르 스벳토자로브가 미술을 담당했다.

5. 작품 해설

이 영화는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을 원문에 충실하게 각색한 것으로 유명하다. 블라디미르 보르트코 감독은 소설의 텍스트를 최대한 살려 영화를 제작했으며, 촬영 감독에게도 소설 원문을 대본으로 제공했을 정도이다.[2]

5. 1. 원작과의 차이점

영화는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을 원문에 충실하게 각색한 것으로 유명하다. 각색 과정에서 거의 삭제된 부분이 없을 정도이다.[2] 하지만, 소설과 영화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영화 속에서 심령술, 서커스의 예언자, 소비에트식 세례(Октябрины|옥탸브리니ru)를 다룬 몇몇 장면은 소설이 아닌 불가코프의 초기 단편 소설에서 가져온 것이다.

6. 수상 내역


  • 이탈리아상 (1989) [3]
  • 바실리예프 형제 RSFSR 국가상 (1990) [4]

7.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이 영화는 단순한 풍자를 넘어, 인간의 욕망과 과학 기술 발전이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권력과 이념의 맹신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경고한다. 특히 20세기 초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성 상실과 가치관 혼란을 겪는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1]

10월 혁명 직후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떠돌이 개 샤릭은 유명한 외과 의사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의 실험 대상이 된다. 인간의 뇌하수체와 고환을 이식받은 샤릭은 점차 인간화되지만, 기증자의 부정적인 특성을 물려받아 난폭하고 무례한 폴리그래프 폴리그래포비치 샤리코프로 변모한다.[1]

샤리코프는 볼셰비키 사상에 경도되어 떠돌이 동물 박멸 부서에서 일하며 권력을 얻지만, 무분별한 행동으로 주변 사람들을 괴롭힌다. 결국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는 샤리코프를 다시 개로 되돌리는 수술을 감행한다.[1]

7. 1. 비판적 관점

일부에서는 이 영화가 지나치게 반(反) 소비에트적이며,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조장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는 특정 체제에 대한 비판을 넘어, 인간의 어리석음과 권력의 남용이 초래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참조

[1] 서적 Words and Images on the Screen: Language, Literature and Moving Pictu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 문서 Собачье сердце или цена заблуждения http://m-bulgakov.ru[...]
[3] 웹사이트 Winners 1949–1998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Бортко, 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https://tass.ru/enc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